일본에서 치사율이 30%에 달하는 전염병이 급속히 퍼지고 있다고 합니다. 봄이 시작되면서 꽃놀이를 위해 일본으로의 여행이 급증하는 시기와 맞물려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유입으로 팬데믹과 같은 상황이 재차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STSS라고 불리는 일본 전염병의 증상과 원인, 예방법과 치료가 가능한 전염병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치사율 30% 독성쇼크증후군 일본 내 급속확산
일본 전역에서 치사율이 최대 30%에 달하는 전염병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이 외신 보도를 통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일본 47개 현 중 45개 현에서 감염자가 나오면서 이미 일본 전역에 퍼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 전염병의 이름은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STSS,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입니다. 사슬알균이라고 불리는 연쇄상구균에 감염되어 이 세균에 의해 온몸의 세포가 망가지는 매우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일본 내에서 STSS 진단을 받은 50세 미만 환자 65명 중 21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치사율이 30%에 이른다고 합니다. 물론 STSS 진단율이 높지 않아 과표집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더라도 코로나 초기 치사율이 4%였던 것에 비교한다면 충격적인 수준입니다.
발병원인은 사람의 피부나 인후에 서식하는 연쇄상구균이 호흡기나 상처를 통해 전파, 감염입니다. 흐흡기 외에도 피부의 작은 긁힘과 같은 상처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해만 합니다. 감염된 사람과 비말 혹은 신체 접촉을 통해 전파되므로 전염성이 매우 높다고 봐야합니다.
STSS 주요 증상과 치료법
간단히 말하면 STSS는 감기처럼 앓다가 갑자기 쇼크로 사망할 수도 있는 병입니다. STSS를 일으키는 사슬알균(연쇄상구균)에 감염되면 감기와 비슷하게 인후두염 증상으로 시작했다가 패혈성 인두염, 편도선염, 폐렴, 뇌수막염을 유발하고 더 진행되는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 괴사, 패혈성 쇼크까지 일으키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직 이 질병에 관한 정보가 많지 않다고 합니다. 특히 STSS만의 전형적인 증상이라는 것이 없고 호흡기 질환이기 때문에 감기 증상과 구분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주요 증상은 고열과 과호흡, 발진과 구토, 설사, 어지럼증 등이 있다고 합니다. 다만 조금이라도 특징적인 증상변화를 구별한다면 고열이 있은 후 피부 발진이 갑작스럽게 일어난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 진단을 해보아야 합니다. 특히 혈압이 급강하하거나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STSS를 치료를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확진이 될 경우 항생제 투여로 빠르게 치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페니실린, 옥사실린, 반코마이신과 같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빠른 진단만 가능하다면 치료는 어렵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독성쇼크증후군 대유행가능성
가장 치사율이 높았던 코로나19 초기 치사율이 4%였습니다. 이후에 1차 변종이 나왔을 때 1.9%로 떨어졌었습니다. 전 세계적인 팬데믹(Pandemic) 당시 치사율도 역시 1%대였습니다. 거기에 비하면 STSS의 치사율은 충격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코로나처럼 대유행을 한다면 상상하기 어려운 정도의 사회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중 한국인이 28%에 이릅니다. 국내로의 전파는 시간문제로 여겨집니다. 작년 한 해 일본을 다녀온 한국인이 696만 명입니다. 올해는 700만 명을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본 여행 중 기침 에티켓, 손 씻기, 마스크 쓰기, 상처를 노출시키지 않는 복장 등 코로나 팬데믹 기간과 같은 감염예방 수칙 준수가 꼭 필요합니다.
다만 전문가들의 예측으로는 대유행이 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고 합니다. STSS가 최근에 확인된 새로운 전염병이 아리고 오래전부터 일본 내에서 꾸준히 환자들이 발생하였음에도 대유행을 한 적이 없다는 사실을 그 근거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작년 연말부터 올해 초까지 예전과 달리 감염자가 많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심한 두통, 뇌 mri 검사와 검사비용 (0) | 2024.03.22 |
---|---|
초음파 검사 비용과 확인할 수 있는 질환 (0) | 2024.03.22 |
MRI 비급여 검사비용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4.03.19 |
CT, MRI, MRA 검사의 차이점과 진단 질병차이 (0) | 2024.03.19 |
본인부담상한제(외료비상한제) 환급금 조회방법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