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와 생활정보

105주년 3.1절(삼일절)이 국경일인 이유, 국기게양법

by 힐링스토리94 2024. 2. 26.

3.1절이 며칠 앞입니다. 일제강점기 우리 민중들이 한일합병을 거부하고 폭력적인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에 시작한 평화적인 만세운동입니다. 올해로 105주년을 맞은 3.1절의 역사적인 의의와 국기게양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3.1절은 5대 국경일

3.1절은 국경일입니다. 우리나라 5대 국경일은 3.1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입니다. 국경일이란 말 그대로 나라의 경사를 기념하기 위해 법률로 정한 경축일입니다. 그런데 3.1절을 경축일로 아시는 분이 많지 않습니다. 당연히 3.1 운동을 기념하는 날이라는 것은 모두 알지만 그것이 왜 국경일인지 알지 못합니다. 아무래도 3.1 운동으로 수많은 민중들이 고난을 받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3.1절이 국경일인 이유에는 역사적인 배경이 있습니다. 바로 3.1 운동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1919년 3월 1일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계기로 그해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그 이듬해 1920년 3월 1일부터 3.1절을 국경일로 정하고 기념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우리나라 헌법에도 명기되어 있듯이 우리 대한민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였으므로 3.1절은 105주년을 맞는 국경일인 것입니다.
 

3.1절에는 조기(弔旗)를 달지 않습니다.

3.1운동은 우리 민족의 독립운동을 하나로 묶어 전국적으로 전개한 역사상 최대 규모의 비폭력 독립운동이었습니다. 전국에서 펼쳐진 총집회수만 1500회가 넘고 참가인원은 200만 명을 넘었습니다. 일제의 총칼에 짓밟혀 투옥된 애국지사만 5만 명에 육박하고 7500명의 순국열사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래서 3.1절은 국경일이지만 우리 민족에게는 애달픈 날이기도 합니다. 유관순 열사(烈士)와 같은 순국선열을 기억하기에 조기를 달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1절은 국경일이기에 조기를 달지 않습니다. 조기(弔旗)는 조의(弔意)를 표하는 날로 관련 법령에 의해 현충일과 국가장 기간에만 게양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데니태극기서울진관사태극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지는 데니태극기(좌), 3.1운동 때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진관사 태극기(우)
김구서명문태극기
김구 서명문 태극기 (사진 3점, 문화재청)

반드시 알아야할 3.1 운동의 배경과 의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역사적 배경에는 1918년 1월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Thomas Woodrow Wilson)의 민족자결주의원칙 발표가 있습니다. 각 민족은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내용을 담은 민족자결주의 원칙은 제1차 세계대전 전후처리를 위한 원칙이었지만 우리 민중들은 이에 크게 자극받게 됩니다. 1919년 독립에 대한 열망이 고조되던 시기 일본 도쿄에서 거행된 2.8 독립선언이 가장 직접적인 계기가 됩니다. 일본에서 유학하던 한국인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독립선언식을 가짐과 동시에 2.8 독립선언서 결의문을 채택하고 일본의 각국 대사관과 일본 국회의원, 조선총독부, 일본 신문사에 이를 발송하게 됩니다. 그리고 재일본도쿄조선YMCA 강당에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였고 대회장을 감시하던 일본 경찰들이 들이닥쳐 60여 명의 유학생을 체포하고 강제 해산시키게 됩니다. 이 사건은 곧 한국에 전파되었고 독립선언서는 밀반입되어 3.1 운동의 큰 배경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촉발한 3.1운동은 우리 민족 구성원들에게 우리 민족의 목표가 완전한 자주독립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 독립운동이 국내외에서 다양하고 치열하게 전개되는 계기를 가져다주었습니다. 같은 해에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독립운동의 대중적인 기반을 넓혀 독립운동을 체계화하고 조직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3.1 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치에도 커다란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무자비한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식민지 운영정책을 변경하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중국의 5.4 운동과 인도 간디의 비폭력 운동에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한계를 가지긴 했으나 3.1 운동은 우리 민족이 결코 일제의 폭력적인 무단통치에 순응하지 않는다는 것과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세계에 알렸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일본의 식민통치에 순응했던 아시아의 대부분의 나라들과 크게 비교되는 자랑스런 역사라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