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여행을 다녀왔더니 도어락이 방전되어서 곤욕을 치렀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간단히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알아두고 준비만 해둔다면 낭패를 보는 일은 없습니다.

목차
9V 사각 건전지를 준비해 두면 방전문제 해결!
비싼 디지털 도어락이 허술할 리 없습니다. 방전되었을 때를 대비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깥쪽 도어락에 9V 사각 건전지를 통해 임시 충전이 가능하도록 장치를 마련해 두었기 때문입니다. 만약 방전으로 인해 디지털 도어락이 반응이 없다면 놀라지 말고 아래 이미지와 같은 9V 사각 건전지를 이용해 임시 충전을 시키고 문을 열 수 있습니다. 건전지를 충전 단자에 연결한 뒤 전원이 켜지면 바로 때지 말고 기존 비밀번호를 누르고 문이 열릴 때까지 유지해 주면 됩니다. 충전 단자는 디지털 도어락 제품마다 충전단자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대체로 아래쪽에 이미지와 같이 충전 단자가 있어서 9V 건전지를 손으로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 바로 충전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설치된 제품으로 검색을 하면 어디에 임시 충전 단자가 붙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9V 사각 건전지는 좀 비싸긴 하지만 편의점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고 다이소 등에서는 2천 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혹시 모를 방전에 대비하고자 한다면 아파트 복도에 있는 여러 단자함이나 자신만이 아는 장소에 비치해 두면 언제든 방전 사고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기계 오류라면 리셋 버튼 클릭하는 것만으로 해결
디지털 도어락은 방전뿐 아니라 가끔씩 시스템 에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도어락에 전원이 들어오기는 하는데 키패드 터치가 먹히지 않거나 카드가 인식되지 않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역시 시스템을 리셋(초기화)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제품마다 차이는 있지만 도어락 전면부나 하단부에 미세한 구멍이 하나 있습니다. 이를 핀셋이나 이수씨개 등으로 3초간 꾹 누르면 대부분의 경우 키패드 전체에 전원이 들어오거나 삐리릭하는 경쾌한 알림음과 함께 시스템이 초기화됩니다. 초기화가 되는 경우에도 저장해 둔 비밀번호까지 초기화되는 것은 아니니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렇게 초기화를 해도 먹통이라면 하드웨어적인 고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수리를 의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먹통 증상이 잣다면 고장 나기 전에 제품 수리 방법을 알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세입자라면 마스터 번호 여부 꼭 확인해 보기
마지막으로 마스터키 삭제하기입니다. 보통 세입자가 많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도어락에는 마스터키라고 하는 제2의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세입자가 변경한 번호를 알려주지 않고 퇴거하는 경우 등에 대비해 관리자들이 언제든 문을 열수 있도록 마스터 비밀번호를 설정해 둔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를 악용한 사례들이 종종 발생하면서 자신이 임차한 원룸이나 오피스텔 도어락에 마스터 비밀번호가 있는지 꼭 확인해봐야 합니다. 임대인에게 문의를 해보고 또 1,2,3,4 혹 2,5,8,0과 같은 쉬운 번호를 입력해 문이 열리는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혹은 임대인의 휴대폰 뒷자리 등으로 도어락이 열리는지 꼭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마스터 비밀번호를 삭제하는 것입니다. 다행인 것은 마스터 비밀번호는 그 번호를 모르더라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제품마다 삭제하는 방법이 다 다릅니다. 보통은 문 안쪽 건전지 덮개를 개방하고 특정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입주를 했다면 입주 후에 마스터 비밀번호를 삭제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제품별 마스터 비밀번호 삭제방법은 해당 도어락 제품을 검색하면 상세히 알 수 있습니다.
'IT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사용 파일 숨기기, 비밀 폴더 만들기 (0) | 2025.03.07 |
---|---|
크롬을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하는 법 알아보기 (0) | 2025.03.04 |
(꿀팁) 번개장터 안전결제 사용법과 주의할 점 알아보기 (0) | 2025.02.20 |
공유기 와이파이 인터넷 끊김 현상 해결방법 6가지 (0) | 2025.02.19 |
구석진 화장실 와이파이 연결꿀팁! (1) | 2025.02.18 |